하고 3년간 7조원의 손실이 발생할

유영상 SKT 사장은 "가입자 500만명이 이탈하고 3년간 7조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밝혔습니다.
SKT 청문회가 열리고 있는 국회 연결.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7일 서울 중구 SKT 본사에서 열린 해킹 사태 관련 일일.
[앵커] 잇슈머니 시간입니다.
박연미 경제평론가 나오셨습니다.
오늘의 주제 'SKT위약금, 귀책 사유 누구에게?' 라고 하셨어요.
국내 최대 이동통신사 SK텔레콤의 유심 해킹 사태에서 유심 교체 지연과위약금면제 여부가 논란이 되는 거지요? [답변] 그렇습니다.
【 앵커멘트 】 정부가 SK텔레콤의 중도 해지위약금면제 여부를 다음 달 결정할 전망입니다.
위약금면제 약관을 위반했는지도 검토 중인데,위약금면제가 현실화하면 가입자 대규모 이탈로 통신업계에 큰 지각변동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기업이 보안 조치를 취했는데도 외부 공격으로 발생한 피해를 100% 회사 책임으로 돌리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SKT 직영 대리점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고가 요금제 이용약관에 명시된위약금면제(위면해지) 조건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법조계 의견이 나왔다.
약관에서 말하는 귀책사유는 통신서비스 제공 의무에 관한 것으로 이번 사이버 침해.
SK텔레콤이 유심(USIM·가입자 식별 모듈) 정보 유출 사고를 계기로 이탈하는 이용자들에 대한 약정 계약위약금면제를 두고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SK텔레콤은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습니다’는 문구와 상반되는 대처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SK텔레콤 해킹 사태 이후위약금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정치권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가입자들이 타 통신사로 이동 시위약금을 전면 면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SK텔레콤은 유심보호서비스만으로도 해킹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더 확실한 조치를.
'유심 대란'에 이어 '위약금면제'가 SK텔레콤(SKT) 해킹사태의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다.
지난달 30일 여야 국회의원들이 나서 "SKT 이용을 중단하고 싶지만위약금부담 때문에 다른 통신사로 바꾸지 못하는 고객들을 위해위약금을 면제하라"고 압박하기 시작했다.
서비스 안내문이 게시되어 있다.
08 뉴시스 SK텔레콤의 유심 해킹 사고 이후 SK텔레콤이 번호이동을 하려는 가입자들에게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치권의 압박이 이어지는 가운데, SK텔레콤이위약금을 면제할 경우 가입자 250만명가량이 이탈하고 이들.